“1시간 만에 흔적 없이”…일본 연구진, 초고속 생분해 플라스틱 개발
윤태희 기자
입력 2025 06 05 17:03
수정 2025 06 05 17:06

2025년 5월 27일 일본 사이타마현 와코에 있는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신생물질과학센터(CEMS)에서 한 연구원이 해양 분해성 플라스틱 샘플을 보여주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일본 과학자들이 단 몇 시간 만에 바닷물 속에서 녹는 플라스틱을 개발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일본 도쿄대와 이화학연구소(RIKEN) 신생물질과학센터(CEMS) 공동 연구진은 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기존 것보다 빨리 분해돼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고 밝혔다.

2025년 5월 27일 일본 사이타마현 와코에 있는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신생물질과학센터(CEMS)에서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 표본이 소금물이 든 용기에 담겨 녹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2025년 5월 27일 일본 사이타마현 와코에 있는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신생물질과학센터(CEMS)에서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 표본이 소금물이 든 용기에 담겨 녹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연구진은 이 플라스틱의 조각을 소금물 용기에 넣고 1시간가량 저은 후 이것이 사라지는 모습을 도쿄 근처 와코시에 있는 한 연구실에서 시연했다.
연구를 이끈 아이다 타쿠조 도쿄대 교수는 이 플라스틱의 상용화 계획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나 이미 포장 용기 업계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전 세계 과학자들은 세계 환경의날(6월 5일)과 같은 캠페인을 통해 날로 심각해지는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2040년까지 플라스틱 오염이 3배로 증가하고 매년 전 세계 바다에 2300만~3700만 t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더해진다고 보고 있다.

2025년 5월 27일 일본 사이타마현 와코에 있는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신생물질과학센터(CEMS)에서 한 연구원이 해양 분해성 플라스틱 원료의 배합 과정을 시연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아이다 교수는 “아이들은 자신들이 살아갈 행성을 선택할 수 없다. 가능한 한 최상의 환경을 아이들에게 남겨주는 것이 과학자로서 우리의 의무”라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플라스틱에 대해 석유에서 유래한 플라스틱만큼 강도가 높지만 소금에 노출되면 원래 성분으로 분해된다면서 이는 자연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추가로 분해돼 수생 생물에 해를 주거나 먹이사슬에 들어갈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금은 토양에도 존재하므로 약 5㎝ 크기의 조각은 육지에서도 200시간 이상 지나면 분해된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이 플라스틱이 무독성, 불연성이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면서 코팅을 더하면 일반 플라스틱처럼 사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아이다 교수는 현재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최적의 코팅 방법에 초점을 맞춘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태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