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든 정의 TECH+] 바다 밑 쓰레기 줍는 인공지능 로봇 청소기 ‘씨클리어’ (영상)
권윤희 기자
입력 2022 01 09 09:55
수정 2022 01 09 09:55

전 세계 바다는 현재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이미 바다로 흘러 들어간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은 2,600만톤에서 6,6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플라스틱이 아닌 쓰레기까지 포함하면 그 양은 더 늘어납니다.(출처: SeaClear project)
독일 뮌헨 공대를 주축으로 유럽 내 여러 연구 기관들이 참여한 씨클리어(SeaClear) 프로젝트도 그중 하나입니다. 씨클리어 프로젝트가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회수 프로젝트로 유명한 오션 클린업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바다 위에 떠 있는 쓰레기가 아니라 밑바닥에 가라앉은 쓰레기를 수집한다는 것입니다. 씨클리어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관광지나 항구처럼 바다 밑에 가라앉은 쓰레기가 많은 지역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포함한 각종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입니다.


씨클리어 프로젝트가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회수 프로젝트로 유명한 오션 클린업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바다 위에 떠 있는 쓰레기가 아니라 밑바닥에 가라앉은 쓰레기를 수집한다는 것입니다. 씨클리어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관광지나 항구처럼 바다 밑에 가라앉은 쓰레기가 많은 지역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포함한 각종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입니다.(출처: SeaClear project)
씨클리어 프로젝트는 무인 선박, 드론, 잠수정을 이용해서 이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작년부터 크로아티아 드브로브니크 인근 해안에서 테스트 중인 씨클리어 프로토타입은 서로 다른 네 가지 로봇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해저 쓰레기를 제거합니다. 우선 모선 역할을 하는 무인 선박이 작업 위치로 이동하면 케이블로 연결된 소형 잠수정이 목표를 수색합니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80% 정확도로 쓰레기를 분류하고 90%를 회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을 모두 자동화해야 24시간 쉬지 않고 쓰레기를 비용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사람이 직접 물에 들어가 쓰레기를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훨씬 안전하게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